도자기를 외국어로 소개하기
도자기를 외국어로 소개하기 도자기를 한글로 소개하기 도자기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공예품으로써, 태토를 재료로 하여 일정한 모양(식기, 다구, 화병, 향로 등)을 만들어 유약을 입히고 1,300˚C 이상의 고온에서 구운 것이다. 태토는 도자기의 원료가 되는 미세한 입자의 점토이고 유약은 도자기의 표면에 덧씌운 얇은 유리질 막을 말하는데 흡수성을 없앤다. 도자기의 종류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고려조 시대에는 주로 푸른색의 도자기가 많이 생산, 이용되었고, 조선조 시대에는 주로 흰색의 도자기가 많이 생산, 이용되었다. 청자는 전남 강진에서, 백자는 경기 이천에서 많이 생산된다. 도자기를 영어로 소개하기 Ceramics are one of our typical craft works. With the Ta..
2022. 1. 22.
농악을 외국어로 소개하기
농악을 외국어로 소개하기 농악을 한글로 소개하기 농악은 한국의 농부들의 대표적인 악기인 꽹과리, 징, 북, 장고, 피리, 날라리 등을 연주하는 것인데, 각 마을마다 농민들이 스스로 조직한 농악대원이 있어 설이나 추석 등의 명절에, 동네에 경사가 있을 때, 서로의 협동정신을 북돋우고 일의 능률을 올리고자 할 때 치고, 두드리고, 불고, 춤추고 하면서 온몸을 활동하는 역동적인 연주를 함으로써 구경하는 사람들도 춤추고 싶은 충동으로 동참하게 된다. 농악을 영어로 소개하기 Nongak(Farmer's music), Typical music instruments of the Korean farmers' are used. There are small and large gongs, pipes, drums, shawm..
2022. 1. 21.
한복을 외국어로 소개하기
한복을 외국어로 소개하기 한복을 한글로 소개하기 한복은 한국인의 고유한 전통의상을 말하는데, 결혼, 축제, 장례, 제사, 명절 등 특별한 시기에는 한복을 즐겨 입는다. 남자 한복은 두루마기, 저고리, 바지, 마고자, 버선 등으로 구성되고, 여자 한복은 두루마기, 저고리, 치마, 마고자, 버선 등으로 구성된다. 여자 한복은 저고리가 짧고 몸에 붙으며 치마는 긴 것이 특징이다. 한복을 영어로 소개하기 Hanbok is a traditional Korean dress. Koreans love to dress up in Hanbok in special events like wedding ceremony, festivals, funerals, rites, holidays, etc.. The men's Hanbok..
2022. 1. 17.
녹차와 다도를 외국어로 소개하기
녹차와 다도를 외국어로 소개하기 녹차와 다도를 한글로 소개하기 녹차와 다도, 우리나라의 녹차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전남 보성군에서 생산되는 보성녹차인데 전국 차의 70%가 보성에서 생산된다. 한국의 녹차는 품질이 우수한데 특히 4월 초순에 수확하는 것이 최고급의 녹차라고 알려져 있다. 한국의 녹차에는 카페인, 탄닌, 아미노산, 비타민, 엽록소, 무기성분 등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많아 고급 음료로 인정받고 있다. 또한 우리의 선조들은 녹차를 마시면서 학문을 하고, 시를 짓고, 서도를 하고, 그림을 그리는 등 수준 높은 풍류생활을 즐기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녹차와 함께하는 풍류생활, 여가생활 또는 승려들의 수도생활을 다도라고 한다. 녹차와 다도를 영어로 소개하기 Green Tea & Tea Ceremo..
2022. 1. 16.